샐러던트/토목 구조

내민보, 브래킷 파괴유형 (bracket)

샐러던트 2023. 5. 10. 23:03

 

브래킷 내민보 파괴유형 설명
내민보 브래킷 파괴종류

브래킷이란 일반적으로 캔틸레버 형식의 철근 콘크리트 보를 말합니다. 다른 말로, 브래킷은 내민보, 내민받침 또는 캔틸레버 보라고도 합니다. 그런데, 일반 캔틸레버 보와는 좀 다릅니다. 브래킷(Braket)은 깊은보 또는 트러스의 거동을 보이며, 이에 따라 설계방법도 완전 다릅니다. 브래킷, 내민보의 정의, 구분방법, 설계방법 그리고 파괴유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브래킷(내민보)이란

: 브래킷, 내민보는 전단경간 대 깊이의 비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다. 내민보의 전단경간/깊이 ≤ 1 인 켄틸레버 보로 정의된다. 이렇게 구분하는 이유는 휨부재인 켄틸레버 보와 설계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1) 저항방식

: 휨부재와 같이 휨거동하지 않고, 깊은 보 또는 단순 트러스 거동으로 외부 하중에 저항한다.

2) 설계방법

: 브래킷에 발생하는 휨모멘트, 수평력을 고려하여 전단마찰설계로 철근량을 산정한다. 이때 필요한 철근은 휨철근, 인장철근, 전단마찰철근, 수평철근이다. 해당 철근량 설계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로 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2. 브래킷(내민보) 파괴유형

: 구조 부재의 파괴유형을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유는 파괴 및 저항형식에 따라 설계방법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현장에서 구조물에 균열을 발견했을때 그 균열 및 파괴 양상에 따라 대책방안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파괴유형에 대해 알아본다.

1) 휨인장 파괴

① 파괴형태 

휨보강 철근 변형이 발생하며, 이때 콘크리트 균열도 함께 일어난다.

② 저항방법

휨철근 배근으로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2) 경사 찢어짐 파괴

① 파괴형태

균열이 먼저 발생하고 경사 압축대를 따라 아래로 경사 찢어짐이 발생한다.

② 저항방법

수평철근으로 경사 찢어짐에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3) 미끄러짐 전단 파괴

① 파괴형태

전단균열이 발생하는데, 위치는 내민받침과 기둥면 사이에 발생한다.

② 저항방법

휨철근 및 수평철근으로 저항한다.

4) 정착단 찢어짐 파괴

① 파괴형태

내민보의 끝단이 찢어지는 형상의 파괴 유형으로, 하중이 끝단에 가까이 작용할 경우(특히 예상치 못한 편심으로 하중의 위치가 벗어난 경우) 발생한다.

② 저항방법

정착판 크기 조절 및 설계하중 위치 고려로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5) 지압 부서짐 파괴

① 파괴형태

지압판의 크기가 작거나 폭이 좁을때, 지압판 아래의 콘크리트가 파괴된다. 즉, 지압판 내의 콘크리트 지압강도 부족한 이유로 발생될 수 있다.

② 저항방법

콘크리트 강도 및 지압판의 강성으로 저항한다.

6) 수평 인장 파괴

① 파괴형태

콘크리트 크리프, 건조수축 및 온도변화 등에 의해 하중 방향이 내민보의 수평바깥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설계시 이를 고려하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수평인장 하중이 발생한 경우, 수평 인장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② 저항방법

휨인장철근으로 저항한다.

 

 

브래킷 파괴유형 개념은 기술사 기출문제입니다. 상세 그림 및 내용은 아래 참고 부탁드립니다.

콘크리트 내민보 내민받침 브래킷 braket 파괴 유형
내민보 브래킷 파괴유형 기술사 기출문제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기술사는 다양한 문제를 보는 게 중요합니다. 아래 링크로 관련 기출문제를 드립니다.

 

(링크) 내민보 브래킷 철근 설계, 배근 방법

(링크) 건축구조기술사 브래킷 내민보 설계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