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강도 공시체 재령 28일 이유, 공시체 기준, 재령보정계수
현장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 강도는 어떤 기준으로 할까요? 일반적인 경우, 공시체 재령일 28일 강도로 한다가 맞습니다. 콘크리트 공시체 시험기준은 왜 28일일까요, 28일보다 빠른 강도 기준일이 필요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공시체는 왜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하나요, 인장강도하면 안 되는지요, 콘크리트 압축강도 산정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끝까지 읽어보시고, 자료 챙겨가시기 바랍니다
1. 콘크리트 강도 기준 재령일이 28일인 이유
① 콘크리트 강도는 일반적인 경우에 표준양생을 실시한 콘크리트 공시체의 재령 28일일 때의 강도를 시험값을 기준으로 한다
② 28일보다 빨리 하중이 소요되는 구조물의 경우, 7일, 14일에서의 공시체의 강도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③ 장기강도의 증가가 큰 콘크리트 사용 및 하중이 작용할 때까지 양생기간이 긴 경우, 28일 보다 더 긴 재령일의 콘크리트 강도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④ 28일로 강도 기준을 선정한 이유
: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콘크리트 강도는 표준양생을 한 공시체의 재령 28일의 강도를 넘기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외부 일반 구조물 공사에 타설해서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실험실에서 표준양생 28일 강도 기준으로 한 것보다 좋기는 어려우니, 표준양생 28일 강도가 기준이 된 겁니다.
사실 28일 현장에서 표준양생 28일 기준 강도보다 좋게 나오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표준양생 28일 강도 기준은 좀 보수적인 면이 있지만, 안정적으로 해석하여 기준으로 선정한 면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콘크리트 강도기준을 압축강도로 하는 이유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강도기준은 압축강도를 이용해서 설계 및 시공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콘크리트 공시체 양생 방법 6가지?(최신 기준으로 알려드림)
① 콘크리트 인장강도, 휨강도, 전단강도, 지압강도, 부착강도 등의 강도는
압축강도와 관계식으로 산정할 수 있으므로 압축강도가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다
② 압축강도 시험은 다른 강도시험 방법보다 비교적 쉽기 때문이다
③ 압축강도 시험 자료가 많고, 다른 강도와의 관계식으로의 산정이 용이하고 예상값에 신뢰성이 좋다
3. 콘크리트 압축강도 공시체
👇콘크리트 강도 시험 및 승인 기준? (예제풀이까지!)
1) 공시체 표준 단면 치수 (강도보정계수)
① ∮ 100 mm x h 200 mm 또는 ∮ 150 mm x h 300 mm이다. 공시체 높이는 직경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② 굵은 골재 최대치수 40mm으로 제한하되,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25mm 초과 시 공시체 150mm 를 사용한다 .이는 공시체 한 변의 길이가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4배 이상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③ 작은 공시체 ∮ 100 mm x h 200 mm 를 사용하는 경우, 큰 공시체 ∮ 150 mm x h 300 mm 로 환산 시,
강도보정계수 0.97를 곱하여 환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입방체의 공시체 경우, 150mm 입방체는 0.80, 100mm 입방체는 0.83 강도보정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2) 공시체 압축강도 산정방법(산정식)
① 공시체가 파괴될 때의 최대하중 P를 산정한다
② 공시체 지름은 서로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한 지름의 평균으로 산정한다
③ 공시체 압축강도 산정식을 적용한 식 (unit : MPa)
4. 콘크리트 재령에 따른 상대강도 변화율
: 재령일 경과에 따른 재령일 28일을 기준으로 한 강도변화 비율이다 (참고용)
5. 콘크리트 재령일에 따른 보정계수
: 해당 보정계수는 28일 재령강도를 1로 기준하여 재령보정계수를 곱하여 나타내었다. 즉, 콘크리트 28일 기준 강도 = 콘크리트 ?일 강도 x 보정계수로 산정할 수 있다. 이는 일본건축학회 매뉴얼에 있는 자료이고 KS F 2730 에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재령일에 따른 보정계수는 아래 표를 참고하면 된다.
이상으로 콘크리트 재령일 기준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공시체, 강도 산정 방법, 재령보정계수까지 알아봤습니다. 더 좋은 자료로 포스팅하겠습니다,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콘크리트 내구성 강도 기준에 대해서도 챙겨가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 클릭~!!
👇콘크리트 내구성 설계기준, 환경조건/예시, 압축 강도
'설계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민보 브래킷 철근 설계, 배근 방법 (0) | 2022.12.27 |
---|---|
콘크리트 내구성 설계기준, 환경조건/예시, 압축 강도 (2) | 2022.12.24 |
내민보 내민받침 전단마찰철근 설계법 (0) | 2022.12.22 |
비틀림 부재 철근, 최소 비틀림 철근 설계 방법 (0) | 2022.12.21 |
비틀림 모멘트 부재 설계 규정, 강도, 공식 (0) | 2022.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