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구조] 콘크리트 포켓기초
콘크리트 기둥 및 기초에 연결하는 방식 중에 포켓 타입이 있습니다. 이는 먼저 제작된 프리케스트 타입인 기둥을 기초에 묻거나 얹혀 볼트로 고정시키는 타입입니다. 포켓 기초는 프리케스트 부재 연결을 위한 시공 방법입니다. 기둥 부재를 기초 속에 삽입하여 일체화시키는 구조이며 연결 방식에 따라 그라우트, 볼트 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포켓 기초 개념은 구조기술사 기출문제이며, 공기 절감 및 품질향상으로 사용되고 있으니 아래 상세내용 참고 바랍니다.
콘크리트 프리케스트 포켓 기초 pocket connection
포켓 기초란
프리케스트된 기초 foundation과 기둥 column을 연결하는 방식이다. 먼저 타설 된 기둥이 기초에 만들어진 홈에 설치되거나 볼트 및 baseplate를 이용하여 기초에 설치가 된다.
포켓 기초 특징
공기절감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기초가 타설 되고 양생이 완료된 뒤에 기둥을 타설 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시공순서에 상관없이 기둥 및 기초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기둥 및 기초는 현장제작이 일반적이지만, 프리케스트 적용 시 공장 제작 및 다량 제작이 가능하므로 품질 및 공기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다량 생산이 가능하다. 공장 제작으로 다량 제작이 가능하다. 단, 공장 제작으로 크기에는 제한이 있다.
포켓 기초 종류
PC Coloumn을 기초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기초에 기둥을 연결할 수 있는 홈을 만들거나 기초에 bolting 볼트 작업으로 구조적 일체화할 수 있다. 종류는 다음과 같다.
포켓 타입
PC Column in grouted porket
PC Column in grouted sleeve
볼트 타입
PC Column on bolted shoe
PC Column on bolted baseplate
포켓기초 설계기준
구조적 일체화를 위해, 상부 기둥의 하중이 잘 전달되어야 한다. 즉, 기둥의 수직력, 휨 모멘트, 수평 전단력이 기초에 원활히 전달되어야 한다.
1. 볼트 타입의 경우, baseplate 및 shoe 면적, 볼트 설계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2. 포켓 타입으로 표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 기둥과 기초가 구조적 일체화가 되었다고 볼 수 있고 전단연결 구조적 검토가 필요하다
3. 포켓 타입으로 표면에 요철이 없는 경우, 수직/수평력과 휨 모멘트는 포켓 측면의 마찰력과 측면 및 하부의 반력에 의해 저항한다. 단, 요철이 없는 경우 포켓 깊이를 1.2 h에서 1.5h로 제한한다. (이때 h는 기둥의 가장 큰 두께 길이이다) 또한 마찰계수는 0.3으로 제한하여 적용한다.
토목구조기술사 115회 2교시 기출문제 풀이입니다. 아래 내용 참고 바랍니다.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기술사는 다양한 문제를 보는게 중요합니다. 아래 링크로 관련 기출문제를 드립니다.
댓글